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내 월급으로 서울 살 수 있을까? 항목별 분석 보고서

by totobake 2025. 7. 17.
반응형

 

💸 “내 월급으로 서울 살 수 있나요?”
2025 현실 월세부터 식비, 생활비까지 낱낱이 공개합니다!

"서울에 살고 싶지만, 정말 가능한 걸까?"
"이 월급으로 도대체 어떻게 버티지?"

하루에도 수십 번, 직장인·프리랜서·취준생들이 똑같이 하는 고민입니다.
멋진 도시, 기회가 많은 곳이라고 하지만 그만큼 돈이 많이 드는 도시, 서울. 지금부터 2025년 현재 기준, 서울 1인 가구가 실제로 얼마를 쓰고 있는지 분야별로 낱낱이 분석해보겠습니다.


① 월세: 방 하나 빌리는데 80만 원?

원룸에 앉아 있는 여성

2025년 현재, 서울에서 1인 가구 기준 원룸·오피스텔 월세는 평균 75~100만 원입니다.
거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강남 3구는 100만 원 이상은 기본, 성동·마포·용산·광진 등도 80만 원 선입니다.

  • 🏙 서울 강서구: 보증금 1,000 / 월세 60만 원 (반지하 or 구축 원룸)
  • 🏙 서울 마포구: 보증금 1,000 / 월세 85만 원 (엘리베이터 없는 오피스텔)
  • 🏙 서울 강남구: 보증금 1,000 / 월세 120만 원 (신축 오피스텔 기준)

공과금 + 관리비까지 합치면 최소 월 100~130만 원이 나가는 셈입니다.
자취 1년 차 직장인의 말에 의하면,

“월급 250인데, 월세+관리비+공과금만으로 120만 원이 나가요. 숨만 쉬고 살아도 돈이 줄어요.”

② 식비: 하루 3끼, 외식은 사치?

편의점 도시락 5,900원 / 김밥천국 제육덮밥 7,000원 / 배달 최소 12,000원.
하루 2끼만 먹어도 15,000원 이상은 쉽게 넘습니다.

요즘 1인 가구는 주로 이렇게 식비를 나눕니다.

  • ☕ 아침: 편의점 삼각김밥 + 커피 → 4,500원
  • 🍱 점심: 회사 근처 식당 → 8,000원
  • 🍜 저녁: 배달 1인분 or 혼밥 → 10,000~13,000원

월 평균 식비는 약 50~60만 원입니다.
주말에 외식이 1~2회만 추가되어도 70만 원은 금방입니다.

“그래서 요즘엔 도시락 싸오는 사람도 많고, 밀키트로 돌려막기도 해요. 그런데 그것도 싸지는 않아요…” – 27세 직장인

③ 교통비: 지하철로만 다녀도 월 7만 원

지하철에 타고 있는 여성

대중교통 요금도 꽤 오릅니다.
2025년 기준 서울 지하철 기본요금은 1,550원, 버스는 1,500원.

왕복 기준으로 출퇴근만 해도 월 약 6~7만 원 지출. 여기에 주말 외출, 심야 택시 등까지 포함하면 교통비는 월 8만 원 내외가 됩니다.

  • 🚇 출퇴근 지하철 왕복 3,000원 × 20일 = 60,000원
  • 🚖 심야 택시 1~2회 = 약 30,000원
  • 🛴 공유 킥보드 2회 이용 = 약 8,000원

소소한 이동도 결국 월 교통비 8~10만 원이라는 부담을 남깁니다.

④ 통신비 & 기타 고정지출

  • 📱 통신비 (요금제 기준): 4만 5천 ~ 7만 원
  • 💻 인터넷+IPTV: 약 2~3만 원
  • 🎧 OTT (넷플릭스, 웨이브, 유튜브 프리미엄 등): 약 1~3만 원
  • 🧻 생필품/세제/화장지 등 월 고정비: 약 3만 원

고정적으로 나가는 금액만 해도 월 10~15만 원.
단 1분기만 지나도 가계부가 무서워지는 이유입니다.

⑤ 여가비 & 친구 만나는 비용

영화 한 편: 14,000원
카페 커피: 5,000원
친구와 저녁 1회: 20,000~30,000원

주말에 두 번만 외출해도 한 달 여가비는 15만 원 이상이 나갑니다.

이로 인해 요즘은 “혼자 산책하기”, “무료 전시회 보기”, “집에서 리추얼 즐기기”가 유행 중입니다.


📌 총 정리 – 서울 1인 가구 한 달 평균 지출

항목 평균 지출
월세 (관리비 포함) 1,000,000원
식비 600,000원
교통비 80,000원
통신비/인터넷 60,000원
여가/외식 150,000원
📌 총합계 1,890,000원

즉, 월급이 230만 원이라면 20만 원도 저축하기 힘든 구조라는 것이 현실입니다.

🔍 그래서 요즘 사람들은?

  • 🏞 “서울 근교로 이사 + 재택근무 병행”
  • 🏡 “청년 전세자금 대출로 자가 매입 시도”
  • 💼 “수입 다변화 – 부업, 디지털 노마드 도전”
  • 🛫 “지방으로 이주 후 삶의 질 상승”

단순히 서울에 산다고 삶의 질이 높아지는 시대는 아닙니다.
나에게 맞는 구조, 생활비 관리, 자산 계획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마무리 – 당신의 월급, 정말 서울에 적합한가요?

서울에서의 삶은 여전히 매력적이지만, 현실은 냉정합니다.
꿈을 좇기 위해선 더 철저한 소비 설계와 전략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당신의 월급은 지금 어디로 새고 있나요?
이 글을 통해 현실을 마주하고, 한 걸음 더 전략적인 소비로 나아가시길 바랍니다.

반응형